클래식카는 수집이 끝이 아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이 복원일지 모른다. 사진 류장헌
클래식카는 수집이 끝이 아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이 복원일지 모른다. 사진 류장헌

오래된 자동차를 소유하거나 타고 있다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 있는 일이다. 옛것이라 불편하고 번거롭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클래식카에는 시간을 뛰어넘는 시대의 감성이 있다. 불편하고, 번거롭고, 심지어는 에어컨이나 자율 주행 기능도 없는 기계에 대한 ‘애착’. 자칫 여유 있는 사람만의 전유물처럼 비치기도 하지만, 관련 시장이 생각보다 크다는 점을 생각하면 단순하게 지나칠 수 없다.

클래식카는 지금 자동차와 비교하면 기술적으로 뒤처져 있고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상태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컨디션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인정하고 나름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클래식카를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불편함은 당연하다.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불편함을 낭만과 향수로 치환하는 것이다.

클래식카 시장이 탄탄하게 자리 잡은 미국이나 유럽, 일본, 심지어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만 해도 관련 산업이 잘 발달돼 있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클래식카 복원이다. 클래식카를 단순히 수집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실제로 너무 오래된 차들은 당연히 그 상태를 장담하기 힘들다. 움직이지 않는 자동차는 고철에 불과하고, 즐거움을 줄 수 없다면 과연 클래식카로 의미가 있을까? 복원은 그래서 중요하다.

클래식카 분야에서 복원이란 오래된 차를 움직이게 만드는 것, 오리지널에 가깝게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그에 앞서 자료를 구해 공부하고 매뉴얼, 부품 등을 구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일부 차종은 이런 자료조차가 구하기 힘들기도 하고 흑백 사진 자료뿐인 경우도 있다.

특히 클래식카는 같은 연식, 같은 모델, 같은 주행 거리라 해도 ‘상태’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상태가 좋을수록 가격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어떤 애호가는 섀시(차대)와 엔진만 있는 차를 고집하기도 한다. 복원하기로 했다면 출시 당시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게 당연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직접 부품을 제작하거나 비슷한 부품을 가공해 사용하기도 한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메르세데스-벤츠 클래식 센터. 올드타이머스토페. 세계 각지서 도착한 부품들. 클래식카를 복원 중인 전문가. 사진 황욱익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메르세데스-벤츠 클래식 센터. 올드타이머스토페. 세계 각지서 도착한 부품들. 클래식카를 복원 중인 전문가. 사진 황욱익

출시 때 쓴 가죽까지 구해 시트 작업

클래식카 복원이나 유지 보수는 자동차 업체에서 직접 담당하는 경우가 꽤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과 미국에서 공식 클래식 센터를 운영 중인 메르세데스-벤츠가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어바인 클래식 센터는 2006년 문을 열었다. 단종 이후 20년 이상 된 차를 관리하는 이곳을 연간 5만 대 정도의 클래식 벤츠가 이용한다고 한다. 완전 복원(풀 리스토어)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3년, 작업시간만 약 2400시간 정도라고 하니, 요즘 차를 정비하는 것과 비교하면 비용이나 시간이 만만치 않다. 이 밖에 포르셰와 재규어도 클래식 모델만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전문 센터나 부서를 운영 중이다.

이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다. 보통 자동차 정비는 기능이 주가 되면서 어떤 부품을 사용하는지는 큰 관심이 없다. 기능상의 문제가 없다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부품, 대체품, 애프터마켓 부품 등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제대로 된 클래식카의 복원이나 정비에서는 철저하게 출시 당시에 나왔던 부품을 고집한다. 패션 사업가로 유명한 랠프 로런의 부가티가 세계적으로 가치(약 450억원)를 인정받고 유명해진 이유 중 하나는 철저하게 1930년대 부품을 사용하거나 당시 제작 방식으로 만든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클래식카 문화와 시장이 어느 정도 자리 잡은 지역이라면 반드시 자동차 업체에서 운영하는 클래식카 전문 센터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업체가 있다. 이들은 소규모 공방부터 시작해 특정 차종만 전문으로 다루는 업체, 도색이나 보디 작업, 전기 전장, 엔진 등 각자의 전문 분야를 다루는 곳이 많다.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클래식카 전문 단지, 클라식 슈타트에 있는 ‘올드타이머스토페’다. 이곳은 클래식카에 사용하는 시트와 가죽 제품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곳인데, 연식과 차종을 알려주면 출시 당시 사용했던 가죽을 구해 작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클래식카 복원은 아무나 뛰어들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예전 차는 기본 구성만 놓고 보면 요즘 차에 비해 훨씬 간단하지만, 보디 작업이나 판금, 도색, 엔진, 디테일링(광택·클리닝·세차) 작업은 작업자의 노하우가 필요하다. 예전 맛을 그대로 재현하려면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공구를 사용하거나 작업 방식이 비효율적인 경우도 많다. 디테일링은 차체 표면의 성질을 알고 있어야 하며 클리닝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클래식카 복원은 자료와 시간, 노력의 싸움이라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반면 국내에서 복원 분야는 아직 생소하다. 오리지널리티를 중요하게 생각하기보다 단순한 기능만 생각한 정비를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영업하는 업체를 쉽게 볼 수 있다. 이들 중엔 클래식카에 대한 이해도, 의미도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다. 물론 클래식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자동차가 출시됐을 때의 향수나 감성을 자극한다고는 볼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