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7일(이하 현재시각) 중국 국가통계국은 2022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3.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이 본격화한 2020년(2.2%)보다는 높지만,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1.6%)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때 제시한 성장률 목표치인 5.5%에도 미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지난해 11월까지 고강도 제로 코로나(Zero Corona·코로나19 확진자 제로 위한 봉쇄 정책)를 고수하면서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12월 7일 중국이 위드 코로나(With Corona·단계적 일상 회복)로 전환했음에도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연말 경기 반등 효과도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새해 전망도 밝지 않다. 최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미국 CBS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으로 새해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필자 역시 중국 내 고위험군인 고령층이 감염에 쉽게 노출된 사회 구조적 현실과 열악한 의료 시스템 등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절(春節·중국의 설)이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춘절 때마다 귀향과 여행 자제령을 내렸지만, 올해는 별다른 자제령을 내리지 않았다.
춘절을 앞둔 1월 18일 중국 베이징 서역에서기차 여행객들이 중앙홀을 따라 걷고 있다. 사진 AP연합
춘절을 앞둔 1월 18일 중국 베이징 서역에서기차 여행객들이 중앙홀을 따라 걷고 있다. 사진 AP연합
낸시 첸 노스웨스턴대 켈로그경영대학원 교수 매사추세츠공대(MIT)경제학 박사, 현 노스웨스턴대 세계빈곤연구센터공동이사
낸시 첸 노스웨스턴대 켈로그경영대학원 교수 매사추세츠공대(MIT)경제학 박사, 현 노스웨스턴대 세계빈곤연구센터공동이사

지난 12월 중국이 제로 코로나를 약 3년 만에 폐지했다. 중국의 갑작스러운 결정은 많은 사람을 놀라게 했다. 자발적 자가 격리,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더 유연하고 점진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대신 중국 정부가 대담한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금 중국은 팬데믹이 시작된 이래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었던 최악의 사태를 겪고 있다. 불과 몇 주 사이에 수억 명의 사람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① 많은 전문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100만 명을 넘을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SNS)에는 수많은 사망자와 마비된 병원 모습에 대한 참혹한 글이 가득하다. ② 감염률과 사망률 수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중국인은 살아남기 위해 싸우고 있다.

현재 중국이 처한 상황은 다른 국가가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초기에 경험했던 것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진국과 다른 중국의 사회 경제 구조적 특징으로 중국인이 바이러스와 싸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선 고위험군의 감염률을 낮추기 위해선 중국도 선진국처럼 고령층이 자발적으로 그들의 가족과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많은 중국의 고령층은 주로 손주들을 양육하기 때문에 쉽게 자발적으로 자가 격리에 나서기가 어렵다. 실제로 지난 2013년 상하이의 인구가족계획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도시 내 어린이 가운데 90%는 적어도 한 명의 조부모에 의해 보살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다른 도시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미국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중국에선 조부모의 50%가 자신의 손주를 돌보는 반면, 미국은 3.8%의 조부모만이 자신의 손주를 돌본다.

중국 노인 상당수는 양로원 대신 성인 자녀와 함께 거주하곤 한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간 근무해야 하는 도시의 근무 시스템과 잔인한 경쟁 교육 시스템 탓에 그들의 성인 자녀는 아이 양육을 도와줄 조부모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에서는 1990년 이후 조부모와 손주가 함께 사는 조손(祖孫) 가구가 세 배 넘게 증가했다.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한 수억 명의 중국인에게 가족을 데려가는 것이 금지돼 있어 약 6000만 명의 어린이가 조부모나 다른 친척과 함께 시골에 남겨지게 됐다. 도시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난다. 도시에 사는 아이들은 종종 최고의 학교와 편의 시설을 갖춘 곳에 집이 있는 조부모와 함께 산다. 1990년대 중반 부동산 개혁 이전 자신들의 근무지에서 무상으로 거주지를 배정받은 이들이다. 덕분에 이들은 이런 인기 있는 지역에서 손주들을 양육할 수 있게 됐다. 반면 이들의 성인 자녀들은 도시의 주택 가격이 급등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교외로 쫓겨났다. 부동산 가격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상하이의 어린이 45%가 조부모의 돌봄을 받게 된 배경이다.

중국의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점도 문제다. 중국인은 감염병 또는 위험한 병에 걸렸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응급 의료 시설을 찾는다. 그러나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접근은 다른 고소득 국가들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다. 2021년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1만2556달러(약 1554만원)로 미국(7만248달러)의 5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는데, 이런 소득 격차는 공공 의료 서비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가령 중국과 미국은 인구당 병상과 의사 수가 비슷한 수준이다. 문제는 낙후된 의료 환경이다. 대부분의 중국 병실은 많은 환자가 공유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감염병에 취약하다. 설상가상으로 2022년 기준 미국은 평균적으로 인구 10만 명당 30개가 넘는 중환자실을 보유한 데 비해 중국은 인구 10만 명당 보유한 중환자실이 네 개밖에 되지 않는다.

중국의 제한된 공공 재원은 높은 치료비에도 반영된다. 미국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2000만 개를 개당 530달러(약 66만원)에 구입해 미국 국민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반면 중국에서는 환자들이 팍스로비드를 구입하는 데 426.80달러(약 53만원)를 지불해야 한다. 이는 중국인의 연평균 ③ 가처분소득(5092달러)의 8.3%에 달하는 규모다. 미국인에게 4034달러(약 500만원)를 지불하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은 셈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도시의 이주 노동자들이 1월 말 춘절을 맞아 귀향할 때 농촌 주민에게 코로나19를 전파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약 5억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중국의 농촌 지역은 훨씬 더 많은 다세대 가구가 살고 있는데, 병원당 병상 수는 도시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중환자실 수도 매우 적다. 중국 농촌이 ‘어두운 코로나19 겨울’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이유다.

2020년 설 연휴에 시작한 코로나19 팬데믹이 3년 만에 캄캄한 터널 끝의 작은 불빛이 보이는 것처럼 끝을 향해 가고 있다. 하지만 남은 마지막 기간이 굉장히 힘들 것이다. 중국인은 질병과 싸우기 위해 필요한 자원이 제한적인 상태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제로 코로나 이전의 평범한 삶으로 돌아가는 게 올바른 방향이란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앞으로 며칠, 몇 주는 극도로 힘들 것이다. 

ⓒ프로젝트신디케이트

Tip

12월 1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산하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는 자체 예측 모델을 통해 중국 내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2023년 말까지 100만 명을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홍콩대 연구진도 12월 14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에서 백신 추가 접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인구 100만 명당 684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총인구(약 14억2570만 명)를 고려했을 때, 97만52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뜻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12월 8일부터 1월 12일까지 의료 기관이 누적 집계한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약 6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통계 자료를 지나치게 축소해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베이징대 국립개발원 자료를 바탕으로 보수적인 치사율인 0.1%를 적용해 지난 5주간 90만 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산했다. 미국 UCLA 공중보건대학의 장쭤펑 역학과장도 블룸버그통신에 “중국의 이번에 보고한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지적했다.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의료 보험료 등 비소비 지출을 차감하고 저축과 소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한국의 연평균 가구당 가처분소득은 5229만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