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호별 보기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25.07.14
통권 596호
경제 안보에 속도 붙는 ‘메이크 인 인디아’
멤버십 가입
잡지 구매
‘메이크 인 인디아’ 10년 후…제조 강국 서두르는 인도
미·중 갈등발 공급망 재편에 인도, 반도체·스마트폰·조선·자동차 등 육성 가속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은 6월 16일(이하 현지시각) 인도 구자라트주(州) 산안드에 조성 중인 반도체 특별경제구역(SEZ)을 인도 정부가 승인했다고 밝혔다. SEZ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 중 하나로, 각종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를 준다...
596호_2025년 07월 14일
박진우 기자
Infographic
‘글로벌 제조업 허브’ 추진하는 인도
596호_2025년 07월 14일
이신혜 기자 , 박서우 인턴기자
[Interview] ‘두 개의 인도’ 저자 아쇼카 모디 전 프린스턴대 교수
“교육 확대·여성 고용·예측 가능 시장 규칙…인도 자본 유치 해법”
“인도 제조업에 대한 낙관론은 현실과 괴리가 있다. 겉보기에는 ‘인도 경제의 시대’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고 있지만, 현재 자본이 인도에서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세계은행 출신 경제학자 아쇼카 모디(Ashoka Mody) 전 프린스턴대 교수는 최근 인터뷰에서 인도를..
596호_2025년 07월 14일
박진우 기자
[Interview] 판카지 모힌드루 인도휴대전화·전자협회(ICEA) 창립자 겸 회장
“EMS 2.0으로 고도화하는 印…조립 넘어 부품·소재 개발로 진화”
“인도는 이제 전자 제조 서비스(EMS) 2.0으로 고도화하는 단계에 진입했다.”인도휴대전화·전자협회(ICEA)의 창립자 판카지 모힌드루(Pankaj Mohindroo) 회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인도 제조업이 조립을 넘어, 부품에서 소재 개발 생산으로 진화하는 기술 사슬의..
596호_2025년 07월 14일
박진우 기자
[Interview] 아닐 신하 타타대우모빌리티 최고운영책임자(COO)
“타타모터스, 40여 개국 진출…글로벌 공급망 변화는 기회”
인도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중국·미국· 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는 나라가 됐다. 지난해 자동차 생산량은 약 600만 대로, 세계 1위 인구를 보유한 국가답게 내수 시장도 뒷받침되었지만,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인도를 아프리카·아시아·중동..
596호_2025년 07월 14일
이신혜 기자
[Interview] 강준모 LG 경영연구원 연구위원
“인도 車 부품·핀테크·공조 진출 확대하고, 州 정부와 협력해야”
LG전자는 지난 5월 8400억원을 투자해 인도 내 가전 제조 시설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인도 법인의 기업공개(IPO)도 추진하고 있다. 미·중 갈등 장기화로 중국 주도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인도 제조업이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지만 인도가 또..
596호_2025년 07월 14일
박진우 기자
[Interview] 조충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델리사무소 소장
“길게 보면 中 대안 인도밖에 없어…韓·인도 정상회담 정례화해야”
2023년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인구 국가가 된 인도는 저임금, 젊은 노동인구, 제조업 투자 확대 정책 등을 통해 외국 기업의 러브콜을 받는 나라 중 하나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5년 전망치 기준 인도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미국, 중국, 독일에 이어..
596호_2025년 07월 14일
이신혜 기자
“美 1000년 만의 폭우” “공무원 감축 탓 부실 대응” 어린이 36명 포함 120여 명 사망…‘人災’ 논란도
미국 텍사스주 커빌의 주민 둘이 7월 5일(이하 현지시각) 홍수로 불어난 과달루페강 물줄기를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큰 사진). 7월 4일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 홍수로 7월 10일 현재 최소 120명이 사망하고 173명이 실종 상태다. 희생자 중에는 ‘캠프..
596호_2025년 07월 14일
이용성 국제전문기자
[Interview] 구글 딥마인드·구글 랩스 AI 전문가 2인
“문화까지 이해하는 AI 모델 개발 중…구글은 소버린 AI 파트너”
“생성 AI(Generative AI) 기반의 거대 언어 모델(LLM)은 다양한 언어 이해를 넘어 문화까지 이해해야 한다. 한국에 있는 사용자가 질문했을 때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답을 도출하는 모델이어야 한다. 구글이 지금 연구하는 부분이다.”마니시 굽타(Manish Gupta)..
596호_2025년 07월 14일
오광진 ‘이코노미조선’ 편집장
[Interview] 국내 1위 공유 오피스 기업 패스트파이브 김대일 대표
“역대 최고 실적 배경은 남다른 ‘고객 경험’…IPO에도 도전”
“한국 공유 오피스 시장이 어렵다는 건 오해다. 이 시장도 충분히 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증명해 내지 않았나.”국내 1위 공유 오피스 기업 패스트파이브의 김대일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배경을 묻자 이렇게 답했다...
596호_2025년 07월 14일
김우영 기자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