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낀 낙동강과 월영교. 사진 이우석
안개 낀 낙동강과 월영교. 사진 이우석

“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여보,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어찌 그런 일들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가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 해도 나는 살 수 없어요. 빨리 당신께 가고 싶어요. 나를 데려가 주세요.”

“나는 꿈에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몰래 와서 보여 주세요.”

하얀색 도포 같은 고장 안동. 꼿꼿한 사대부도 뜨거운 사랑을 했다. 어찌 보면 다소 경직된 이미지의 예향(禮鄕) 안동이 ‘사랑의 도시’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은 이 애절한 연서 덕분이다.

IMF 경제위기 상황이 온 나라를 덮었던 1998년, 안동에서 편지 몇 장이 발견된다. 정상동 택지 개발 과정에 발굴된 무덤에 들어 있던 400년 전의 한글 편지다.

병술년(1586년) 서른한 살 나이로 요절한 ‘원이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아내가 남편 시신의 가슴에 올린 한글 편지의 한 구절이다. 애틋한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은 이응태(李應台·1556~86)와 그의 아내 ‘원이 엄마’다.

원이 엄마는 병에 걸린 남편의 쾌유를 위해 머리카락을 잘라 미투리를 지었다. 정성에도 불구하고 이응태는 죽었다. 눈물겨운 사랑으로 지은 편지와 미투리는 남편의 시신과 함께 땅에 묻혔다. 발견된 관은 장례 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건장한 남자 시신이 미라 상태 수준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머리카락으로 지은 미투리와 여러 장의 편지가 공개됐다.

생사를 뛰어넘은 원이 엄마의 순애보가 전 세계에 소개됐고, 덕분에 안동은 ‘사랑의 도시’ 이미지를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안동 민속촌의 봄풍경. 사진 이우석
안동 민속촌의 봄풍경. 사진 이우석

조명 아름다운 월영교는 데이트 명소

2003년 안동시는 이 부부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기리기 위해, 시신이 발굴된 수몰 지역 수면 위에 나무다리를 지었다. ‘달’을 상징하는 월영교를 미투리 모양으로 설계했다. 길이 387m(너비 3.6m)의 국내 최장 목책 인도교로 다리 한가운데에는 월영정(月映亭)이 우뚝 서 있다. 나루에서 배를 타고 둘러볼 수도 있는 월영교는 아름다운 야간 조명과 주변 경관으로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찾는다.

특히 커플 단위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월영교 앞에 서니 원이 엄마가 남긴 절절한 한마디가 가슴에 남는다.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안동 가던 날 봄비가 내렸다. 햇살이 늦게 드는 안동에 ‘봄의 개막’을 선언하는 비다.

안동은 ‘정신문화 수도’의 위엄이 서렸다. 조선 오백 년의 확고한 통치 이념이었고 여태껏 많은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는 유교의 본향이기 때문이다. 서원과 제례로 대표되는 사대부 문화와 별신굿, 탈춤 등이 상징하는 민중 문화가 공존한다.

무려 200여 점이 넘는 유무형 문화재가 있을 정도로 확실한 전통이 버티고 있는 가운데 예(禮)를 중시하는 안동 시민이 여태껏 한국 정신문화 수도를 지켜오고 있다.

도산서원(陶山書院)에 갔다. ‘1000원권 지폐’는 안동을 상징한다. 화폐 도안이 여러 번 바뀌었지만 운영대와 도산서원이 1000원권 뒷면을 꿋꿋이 지켜오고 있다. 앞면엔 역시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이 함께 있다.

지폐에는 국가와 건국 이념의 상징물이 들어가게 마련이다. 도산서원과 퇴계는 성리학으로 대변되는 조선 정치 철학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서 들어갔다.

서민에게 친숙한 최소액 지폐 1000원권. 지배계층 사대부 유림의 터전이었던 도산서원은 현대에서 민생과 함께하고 있다. 우스개로 1000원 구권 지폐에 있는 도산서원 마당에는 관노 ‘마당쇠’가 빗자루를 들고 있다는 말이 있다. 눈을 크게 뜨고 찾다 보면 그동안 마당을 다 쓸고 들어가 버려 끝내 못 찾는다는 내용이다.

도산서원은 퇴계가 지은 것이 아니다. 후학들이 퇴계를 기려 세운 곳이다. 서원은 요새로 치자면 사립학교(반대로 향교는 공립학교다)지만 사액(賜額)서원이다. 사액서원이란 왕이 편액·서적·토지·노비 등을 하사한 서원으로, 교육기관으로서 그 권위를 공히 인정받았다 할 수 있다. 사액서원에는 면세 혜택과 서적 지원 그리고 관노(官奴)를 둘 수 있는 권한을 줬다.

입구부터 5분 정도 산길을 걸어 들어가면 안동호반에 오뚝 솟은 절벽(운영대)이 나오고 그 뒤편 기슭에 도산서원이 자리 잡고 있다. 고즈넉한 분위기의 서원은 소나무숲에 포근하게 들어앉아 물가 시사단을 바라보고 있다. 시사단 역시 정조가 퇴계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영남에서 별시를 보게 했던 것을 기념해 세운 곳이다. 국가(지방)고시를 지방에서 따로 보도록 했을 정도로 안동은 특별한 곳이었다.


안동 헛제삿밥. 사진 이우석
안동 헛제삿밥. 사진 이우석

퇴계의 철학 배울 수 있는 박물관 있어

이른 봄을 맞은 서원은 역설적이게도 도저히 공부에 전념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 문 밖에는 샛노란 산수유가 피어났고, 서원으로 오르는 계단 옆 목련과 매화는 건드리면 바로 꽃봉오리를 틔울 기세다.

매화는 퇴계가 사랑한 꽃이다. 불세출 선비의 성정을 흔들어 놓았다. 봄에만 잠깐 피고 지는 매화가 아쉬웠던 퇴계는 매화 문양 도자 의자에 앉아 책을 읽었으며, 유명을 달리하는 날 아침에도 나무에 물을 주고 떠났다고 한다. 이 매화 역시 같은 1000원권 지폐에 등장해 퇴계와 함께하고 있다.

도산서원에는 유품과 전시물을 통해 퇴계의 삶과 학문, 철학을 배울 수 있는 작은 박물관(유물관)이 있다. 퇴계가 썼던 문방사우, 주고받은 서간, 주리설을 도해로 설명한 패널 등이 있다. 주리설은 퇴계의 성리학 이론으로 우주 만물을 볼 때 그 원리를 중심에 둔 설이다. 성리학이 통치 이념 이전에 모든 세상의 근간을 이야기하는 철학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안동 민속촌을 둘러보면 당시 반가와 민초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너른 평야에 비해 물산이라고는 보잘 것 없는 경상북도 산간 지역. 이곳에서의 봄볕은 풍성한 산물보다는 인간이 스스로 뒤돌아볼 수 있는 철학의 작은 그림자를 땅에 찍어내고 있었다.


▒ 이우석
성균관대 미술교육학과, 전 여행기자협회 회장, 16년째 여행·맛집 전문 기자로 활동 중


여행수첩

먹거리 안동은 찜닭, 간고등어, 건진국수, 맘모스제과, 월영교 달빵 등 맛난 먹거리가 많다. 가장 유명한 것은 헛제삿밥. 양반가에서 제례를 지내는 상차림 그대로 나눠 먹었던 데서 유래했다. 서원이 많은 안동에서 유생들이 맛난 음식을 먹기 위해 ‘제례 연습’을 하자고 해서 생겨났다는 설도 있다.

안동호 인근에 헛제삿밥집이 많다. ‘까치구멍집’은 격식(?) 있는 헛제삿밥으로 소문난 집. 오신채를 적게 쓰고 색상을 맞추는 등 전해 오는 제사 법도를 지켰다. 탕국을 비롯해 상어, 산적, 나물채반, 생선구이, 떡, 명태전, 다시마전, 배추전, 달걀, 김치 등을 차려낸다. 간고등어와 안동소주를 함께 곁들여도 좋다. 마지막으로 안동식혜를 낸다. 매콤새콤한 맛의 안동식혜는 디저트보다는 소화제로 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