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6월 1일 ‘2021 글로벌 모범시민 위크’를 맞이해 포항 형산강 일대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6월 1일 ‘2021 글로벌 모범시민 위크’를 맞이해 포항 형산강 일대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

올 초 연임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안전’과 ‘환경’을 기치로 내걸었다. 그는 지난 4월 창립 53주년 기념사에서 “안전과 환경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삼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이와 관련해 내부 ESG 조직과 안전관리 조직을 강화했다. 최 회장이 취임하며 세운 경영철학 ‘기업시민’도 5대 목표로 고도화·세분화했다. 공급사 등의 ESG경영도 독려하고 있다. ESG를 공급망 전체로 확대해 선순환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포스코는 올해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신설하고, 최고경영자(CEO) 직속 기업시민 자문회의를 확대 개편했다. ESG위원회는 포스코의 ESG 활동 주요 정책과 이행사항을 모니터링하고, ESG 리스크도 관리한다. 위원장은 김신배 사외이사가 맡았다. 기업시민 자문회의는 ESG 트렌드나 산업안전 문제 등을 CEO에게 제언하는 역할을 한다. 두 조직이 포스코그룹의 ESG 관련 정책을 조율, 협력해나가는 축이 될 전망이다.

현장 안전 관리 조직도 강화하고 나섰다. 사장(철강부문장) 직속으로 ‘안전환경본부’를 신설했다. 현장 전문가 이시우 본부장이 키를 쥐었다. 안전환경본부 산하에 안전보건기획실을 만들고 포항과 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안전보건 체계 및 제도의 혁신을 전담 수행한다.

포스코는 최 회장이 2018년 취임하면서 세운 경영철학 ‘기업시민’을 ‘5대 브랜드’로 새롭게 구축했다. ‘Green With POSCO’가 시그니처(signature) 브랜드다. 포스코가 지난해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하면서 친환경 활동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수소환원제철’이 핵심이다. 지금은 철강재를 생산할 때 석탄에서 발생하는 가스인 일산화탄소(CO)를 환원제로 쓴다. 이에 철강업은 최대 탄소 배출 업종이란 꼬리표를 달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 전체 철강산업 탄소 배출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환원제철이 개발되면 탄소 배출 ‘제로(0)’가 가능해진다.

수소환원제철은 그린 수소와도 맞닿아있다. 투입하는 수소와 수소환원제철 과정에 필요한 전기 생산 모두 탄소를 배출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2040년 그린 수소 200만t 생산, 2050년 그린 수소 500만t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 사업 매출만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친환경 정책을 미래 먹거리와 연결 지어 지속성을 확보한 것이다.

포스코그룹은 공급망 내 ESG 확산에도 힘을 쏟고 있다. 올해부터 ‘포스코형 ESG 구매체계’를 시행하고 있다. 신규 거래 희망 공급사에 대해 ESG 관련 기본 자격을 심사해 진입 자격을 부여하고, 기존 공급사의 환경 관련 인증이나 ESG 관련 활동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ESG 평가 미달 시에는 개선을 유도하고 미개선 시에는 납품을 제한한다.

포스코는 또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인증제도(PosCP)’를 진행하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설비·자재 공급사 등이 공정거래 관련 내부 준법 시스템을 세운 뒤 평가받는 방식이다. 현재 12개 협력사가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