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묵은 것이 물러가고 새로운 것이 발생하는 계절이다. 봄의 정기가 가득한 음식을 먹으며 마음의 여유를 가져보자.
봄은 묵은 것이 물러가고 새로운 것이 발생하는 계절이다. 봄의 정기가 가득한 음식을 먹으며 마음의 여유를 가져보자.

춘(春), 하(夏), 추(秋), 동(冬). 매년 되풀이되는 사계절이지만 봄은 늘 새롭게 느껴진다. 봄은 만물이 묵은 때를 벗고 새롭게 피어나는, 이른바 생기(生氣)가 발랄한 계절이다. 완연한 봄기운이 느껴지고 활기찬 생활을 다짐하게 하는 이 좋은 계절, 건강을 유지하는 비법을 한의학에서 찾아보자.

한의학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생리적 현상과 병적 현상을 대자연에서 일어나는 생성·변화의 현상과 같은 이치로 이해한다. 이런 원리를 한의학에서는 ‘인신소천지(人身小天地)’라고 일컫는데, 아무리 뛰어난 사람일지라도 거대한 자연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런 까닭에 모든 인간은 생(生), 장(長), 수(收), 장(藏)이라는 사계절의 자연법칙에 따라 생(生), 노(老), 병(病), 사(死)라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겪게 된다. 따라서 영원히 죽지 않고 살 방법이 없는 이상 인간은 건강하게 사는 것이 최선인데, 건강을 보존하기 위한 소위 ‘양생법(養生法)’의 실체는 다름 아닌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것이다.

자연의 질서를 좇는 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누구나 쉽게 그 이치를 터득해 실천에 옮길 수 있다. 가령 봄에 만물이 싹 틔우고, 여름에 무성하게 자라면, 가을에 그 결실을 거두고, 겨울에 갈무리하는 것이 자연의 도도한 법칙이니만큼, 사람은 그저 그 법칙을 그대로 흉내 내면 된다.


피어오르는 봄기운에 순응해야

춘추전국시대에 저술된 동양의학 최고(最古)의 의서인 ‘황제내경(皇帝內經)’은 봄철의 양생법에 대해 갈파했다. ‘황제내경’에서는 봄철 3개월을 ‘발진(發陣)’이라 하며, 글자 그대로 봄은 묵은 것(陣)이 물러가고 새로운 것이 발생하는(發) 시기라고 했다. 따라서 자연에 새로운 기(氣)가 충만해져 천지만물이 소생·발육하는 봄철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람 또한 봄의 피어오르는 기운에 순응해야만 한다.

‘황제내경’에서는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봄철에는 살리되 죽이지 말고(生而勿殺), 주되 빼앗지 말며(子而勿奪), 상을 주되 벌을 주지 않아야(賞而勿罰) 생발(生發)하는 기운으로 가득한 봄에 순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지 않으면 여름철에 질병으로 고생한다는 것이다.

봄철 양생이 여름으로 이어지듯, 사람들이 봄철에 가장 많이 겪는 ‘춘곤증(春困症)’은 겨울철 양생의 잘못에 기인한다. 춘곤증의 ‘곤(困)’ 자는 겨울에 정기(精氣)를 잘 갈무리하지 못해 봄(春)에 나무(木)가 뻗어 나가지 못하고(囗) 틀어 막혀 있는 것(木+囗 =困)을 가리킨다. 봄의 생발지기(生發之氣)와 아주 상반된 질병이 나타나는 것이다. 춘곤증은 인체의 에센스라 할 정(精)을 보충하는 치료법으로 해소할 수 있다.

다가오는 무더운 여름을 잘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봄기운에 순응해야 한다. 이왕이면 봄의 정기(精氣)가 가득한 음식을 섭취하면서 동네 한 바퀴라도 여유롭게 거닐어보자. 어느 불자의 말처럼 남에게 눈물을 흘리게 하기보다는 웃음을 안겨줄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갖고 싱그러운 봄을 만끽하도록 하자. 따뜻한 봄 햇살같이 주변 사람에게 따뜻한 사랑을 베푸는 것이 봄철 건강 유지에 가장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 안세영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자가면역·난치질환 센터장, 현 대한한방내과학회 교육이사, 수석부회장, 대한한방내과학회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