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1~6월) 일본의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87.4%나 감소했다고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등으로 중국과 한국에 대한 수출이 준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일본 재무성이 이날 발표한 올해 상반기 무역수지 흑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4% 감소한 2242억엔(약 2조5550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출은 5.2% 감소한 37조9497억엔(약 432조4330억원), 수입은 1.4% 줄어든 37조7255억엔(약 429조8780억원)이었다.
일본 재무성은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의 반도체 제조 장비와 철강 수출이 부진했던 것이 무역수지 흑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중국 경기 둔화에 따라 주변국의 공급망이 영향을 받고 있다”며 “반도체 등 제조 장치, 철강,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제품의 이동이 차질을 빚어 일본에서 중국·한국 등 아시아로의 수출이 크게 줄었다”고 했다.
수출과 수입뿐 아니라 자본, 서비스 등의 이동을 모두 포함하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줄었다.
일본의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한 10조4676억엔(약 119조4060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기업이 해외 투자에서 얻은 이자와 배당금을 포함한 제1차 소득수지는 0.2% 증가한 10조5923억엔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 중 한 항목인 서비스 수지는 2316억엔 흑자를 기록했다. 서비스 수지가 반기 기준으로 흑자를 기록한 것은 1996년 이후 처음이다. 이는 서비스 수지 중 여행수지가 방일 외국인 증가에 힘입어 늘었기 때문이다. 여행수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늘어난 1조3199억엔 흑자를 나타냈다.
이번주 인기 기사
-
2020년도 재계 인사 키워드 혁신·미래·젊은 피…대기업 연말 세대교체 바람
-
중·러 잇는 3000㎞ 가스관 개통 시진핑·푸틴의 에너지 동맹…안보·경제 밀착 가속화
-
[Interview] 오세건 엑스엑스블루 대표이사 “2000만원 찍은 GD 운동화, 주식보다 낫죠?”
-
매출 100조원 프랜차이즈 빛과 그림자 덩치 커졌지만 ‘갑질논란·규제발목’에 뒷걸음질
-
[Interview] 김대영 슈피겐코리아 대표 휴대전화 케이스 2600억원 매출 신화…“시작부터 아마존 공략, 이젠 후배 스타트업 양성 주력”
-
[327호] photo news 거리로 나온 인도 소상공인, “아마존은 돌아가라” 철수 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