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유선통신업체인 KT가 8월19일 민영화 3년을 맞는다. KT는 2002년 8월 공기업에서 사기업으로 완전 변신했다. 현재 국내 시내전화시장의 94%, 시외전화 83%, 초고속인터넷시장 50.5%를 차지하고 연 매출 11조원이 넘는 \\\'통신공룡\\\'으로 성장한 KT. 하지만 KT의 민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부가 KT를 민영화하기로 한 것은 1980년대 후반 미국의 통신시장 개방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KT의 자발적 노력이라기보다는 정부의 정책적인 결단에 의해 추진된 사안이었다. 실제 매각은 1993년과 1996년 사이에 3차례에 걸쳐 28.8%의 지분매각이 이뤄졌다. 이를 시작으로 1998년 국민의 정부 출범과 함께 가속도가 붙으면서 1998년 증시 직상장, 1999년 1차 해외 DR 발행이 이뤄졌다. 그 후 2000년 6월10일 '공기업민영화추진위원회'에서 2002년 6월까지 정부가 가진 KT지분을 완전히 매각키로 결정했다.

 2001년 정부는 국내 매각을 통해 333만주(1.1%)를 팔고, 2차 해외예탁증서(ADR)발행(17.8%),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제휴(11.8%)등으로 전부 30.7%를 팔았다. 2002년 3월에는 잔여지분 매각을 위해 1개 기업이 한 번에 취득할 수 있는 지분한도를 5%에서 15%로 확대하고 주식과 채권을 연계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결국 2002년 5월 25일 총 매각물량 8857만4429주 전량을 매각해 4조7830억1916만6000원을 벌었다.

 2002년 5월 정부 지분 28.4%는 SK텔리콤(11.34$), 우리사주(5.67%), 기관투자가(4%), 일반투자자(3.7%), LG전자(2.28%), 대림산업(1.38%)에게 돌아갔다. SK텔레콤이 KT의 1대 주주가 된 것이다.

 SK텔레콤의 1대 주주 등극은 재벌그룹으로 하여금 KT지분을 나눠 갖게 하고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려는 정부에게는 커다란 충격이었따. 하지만 KT의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던 SK텔레콤은 2002년 7월 교환사채(EB)를 매각하고, 11월 KT와 지분 맞교환을 합의하게 된다. 그 후 2003년 1월 KT는 특정기업의 지배위협을 해소하면서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를 이뤘다.

 민영화 과정에서 정부는 통신산업의 핵심역량이 시장논리의 지배에 놓이지 않도록 공익성 의무를 추가했다. 농어촌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무와 국가안전보장, 군사, 치안 등 국가중요통신의 안정적 제공 의무가 그것이다.



 민영화 평가 엇갈려

 KT의 민영화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다. "KT가 아직까지 공기업의 때를 벗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느"는 평가와 "완전 민영화를 통해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선다.

 이처럼 극과 극으로 나뉜 민영화에 대한 평가는 KT가 시내외전화망과 초고속 인터넷망을 독점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당시 민영화 과정에서도 시민단체 등은 시내망을 분리하고 매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시내전화망을 독점한 민간사업자'로 KT를 민영화했다. 그래서 아직까지 정부독점에서 민간독점으로 옮겨진 것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반대로 민영화 이후 경영성과가 성공적이라는 평가는 통신시장의 성장둔화와 비교하면 양호하다는 것이다. KT에 따르면 민영화 이후 주식가치는 떨어졌지만 통신업계의 전반적인 주식가치 하락을 감안하면 선방한 케이스라는 것. 매출액 역시 SK텔레콤, 데이콤 등 주요 사업자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매출 및 사업구조를 기존의 통화중심에서 초고속인터넷 등 신규사업위주로 변모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2002년 kT매출의 60%를 차지했던 전화사업의 비중을 2004년 53%로 축소시킨 반면 초고속인터넷, KT-PCS, 비즈메카 등 신규사업기반을 대폭적으로 성자시켰다.

 KT의 경우 2002년 8월 이용경 사장 취임 당시 4만 8881원이었던 주식이 2005년 7월15일 4만1000원을 기록해 16.1%포인트 하락한 반면 SK텔레콤은 22만 6238원에서 18만4000원으로 18%포인트 하락했다.

 매출부문에서도 KT는 2003년 11조5745억원에서 지난해 11조8508억원으로 2.4%늘었다. 하지만 SK텔레콤은 9조5200억원에서 9조 7040억원으로 1.9%늘어나는 데 그쳤다. 해외 통신대기업과 비교해도 경쟁력은 높아졌다. AT&A, 브리티시텔레콤(BT)등이 마이너스 성장을 한 데 비해 KT의 매출은 소폭 늘였따.

 재무구조와 관련, 민영화 과정에서 발행된 EB상황을 위해 일시적으로 부채율이 상승했지만 올 이후 EB상황에 따라 부채율은 급속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07년에는 100%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KT가 민영화 이후 기간통신사업자로서의 위치가 흔들리면서 부정적이 평가도 쏟아지고 있다. 지난 2월28일 대구와 일부 수도권 지역의 통신대란, 담합행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1160억원대 과징금, 초고속인터넷 시장에서의 지배적 사업자 지정 등 일련의 사태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KT가 주주 배당만 늘리고 민영화 이후 시설망에 대한 투자를 게을리하면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며 민영화 뒤 KT의 경영효율성 등을 종합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실 민영화 이후 KT의 경영성과는 아직 우울하다.  우선시장의 전반적인 정체 속에서 매출은 제자리걸음이다. 2001년 11조5183억원의 매출은 2002년 11조7088억원, 2003년 11조5745억원, 2004년 11조8508억원으로 거의 정체상태다.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전화사업의 수익은 2001년 대비 -6%를 기록하는 등 매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연간 투자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 민영화 이전인 2001년 2조 7000억원에서 지난해 2조2729억원으로 4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반면 주주 배당은 2001년 224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6322억원으로 3개 가까이 늘었다. 이 중 48%는 해외투자자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이에 따라 국부의 해외유출이 심각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도 KT가 수익성 위주의 정영을 하면서 소외 지역의 정보 격차 해소나 보편적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 등 공익적 기능이 소홀해지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통부는 KT민영화 3년간의 성과평가를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의뢰, 오는 10월쯤 결과를 국회에 보고할 계획이다.



 운신의 폭 계속 좁아져

 민영화 2기 출범을 앞두고 있는 KT는 잇따른 규제 악재로 매출달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각종 규제로 인해 KT가 운신할 수 있는 폭이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반기에만 서너 차례에 걸쳐 과징금부과 명령을 받았고, 이 금액은 무려1260억원에 달한다. 통신위원회로부터 지난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부과된 과징금은 61억원이었다. 그리고 지난 5월11일 공정위로부터 부과된 과징금 액수는 1200억원에 이른다. 거의 한 달에 한 번꼴로 과징금을 맞은 셈이다.

 하반기에도 상반기 못지않은 과징금을 맞게 되면, KT의 성장률은 설립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질칠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하반기에 초고속인터넷 사업분야에 대해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출액이 6조원에 달하는 초고속인터넷 분야에 대해 공정위가 과징금을 부과할 경우 그 수준이 시내전화 담합건에 못지않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돈다.

 특히 지난 6월 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 시장의 사업자별 매출액과 시장경쟁 상황을 고려해 KT를 지배적 사업자로 지정했다.

 KT는 시내전화 시장에 이어 초고속인터넷 시장에서도 지배적 사업자로 지정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더욱 좁아졌다. 정통부가 KT에 족쇄를 채운 것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 지난해 78%로 포화 상태에 달하면서 사업자들간의 가입자 뺏기 등 불공정 영업행위와 출혈경쟁이 도를 넘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5월말 현재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수는 1220만3290명. 이 가운데 KT는 617만명으로 50.5%를 차지하고 있다. 매출 규모로 보면 지난해 4조원의 초고속인터넷 매출 줄 55%를 KT가 가져갔따. 하나로텔레콤(22.8%)과 두루넷(10.4%) 등 후발사업자들의 시장점유율에 비하면 KT로의 쏠림 현상이 확실하다는 게 정통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KT는 요금제와 신상품 출시 등에서 정부 규제를 받게 된 반면 후발사업자들은 유리한 조건에서 가입자 유치경쟁을 할 수 있게 돼 통신시장 판도가 변화를 겪게 됐다.

 지배적 사업자로 지정됨에 따라 KT는 앞으로 초고속인터넷 요금제나 결합상품 출시 등에 대해 매번 정통부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한다. 통신위원회의 과징금 상한액도 올라가게 돼 움직임은 더욱 둔해지게 됐다. 또 지난해 설정한 '미래비전2010'전략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지배적 사업자 지정은 KT에 막대한 손실이다.

 KT는 "자율경쟁에 제동이 걸려 요금 인하 등 소비자 펵익의 저하가 우려되며 새로운 서비스시장 활성화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KT관계자는 "2위 업체인 하나로텔레콤이 3위인 두루넷을 인수하고, 파워콤의 초고속인터넷 시장 진출, 케이블TV 사업자들의 가입자 확대 등 시장 상황이 급변하는데 KT만 손발 다 묶어놓는 꼴"이라고 불평했다.

 실제로 2002년말 시장점유율이 5.3%에 불과하던 케이블TV업체들은 저가 공세에 힘입어 5월말 현재 10%까지 점유율을 늘렸다. 망 사업자인 파워콤도 초고속인터넷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어서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KT의 PCS무선재판매 사업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KT무선재판매는 음성매출 감소분을 상당부분 메워주는 역할을 해왔다. 지난해 무선재판매 매출액은 1조원이 넘어 전체 매출액의 7~8%를 차지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가입자도 250만명에 이르러 sk텔레콤이나 lg텔레콤 등은 kt의 무선재판매에 대해 사업분리를 끊임없이 주장해왔다. 일단 공정위 개입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KT와 KTF간의 부당 내부거래 의혹이 국회로부터 제기됐기 때문에 공정위 입장에서는 직권조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선진지배 구축 긍정적

 이처럼 규제 넝쿨을 헤치고 있는 KT가 8월 민영화ㅑ 2기를 이끌어갈 새 사령탑을 맞았다. 새 사령탑은 KT를 규제에서 무사히 빠져나오게 하는 것으로 경영능력의 평가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섭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KT는 민영화됐지만 아직 공기업적 성격이 강하다"며 "가격정책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도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실적으로 정통부의 법적 규제를 받는다는 점에서 SK텔레콤 등 여타 업체들보다 의사결정도 상대적으로 빠르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민영화 회의론에 맞서 일각에서는 민영화로 인해 선진적인 기업지배구조를 구축하고 투명, 윤리경영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긍정적 평가도 없지 않다. 6시그마 도입을 통한 경영혁신으로 2년 만에 3494억원의 재무성과를 거둔 것과 고객 중심의 경영 등도 민영화의 성고로 꼽힌다. KT측은 민영화 이후 전사원의 의식개혁을 통해 기업체질 개선과 함께 연공서열 타파 및 핵심인력 영입을 통해 인적자원을 혁신했다고 설명했다.

 KT는 민영화 이후 전문경영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사외이사의 역할도 강화했다. 사외이사 수는 민영화 이전 50%(8명중 4명)에서 67%(9명중 7명)로 비중이 확대됐다. 사장과 이사회 의장을 분리했으며, 이사회 의장에는 사외이사를 선임해 의사결정과 집행기능을 분리했다.

KT는 대기업 중 유일하게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 기업이기도 하다. 또 이사회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부거래위원회, 평가 및 보상위원회, 경영전략위원회 등 내부 전문위원회를 도입했다. 사외이사가 전문위원회에 참여함으로써 자기 역할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고 이사회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위원회가 중요시되는 이유다. 감사위원회다 상임감사위원을 배제하고 사외이사로만 구성돼 투명성을 높였다.

 KT는 지난 6월 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에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 상장된 공개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수 지배구조 평가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성공적인 민영화 평가와 함께 KTF와의 합병설도 다시 불거지고 있다. KT가 통신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생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슈가 바로 KTF와의 합병이다 KT사장으로 내정된 남중수KTF사장이 밝힌 소감도 합병설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남 사장은 "새로운 발전을 위해 KT의 창조적 통합을 이끌겠다"고 다짐했다. 남 사장이 언급한 '통합'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KT그룹 임직원들의 단합은 물론 유무선 통합을 통한 KT와 KTF의 합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용경 KT사장도 이미 KTF와의 합병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 사장은 2004년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현지 계열사인 NTC를 방문한 자리에서 "하나로텔레콤이 SK텔레콤에 매각될 경우 KT와 KTF와의 합병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KTF내부에선 합병에 대한 신중론도 감지되고 있다.

 KTF관계자는 "남 사장의 말을 합병으로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합병에 대한 검토는 이뤄진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남중수 사장의 KT사장 취임 이후 KT와 KTF간 합병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F와KT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는 물론 경영합리화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며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평했다.



 새로운 캐시카우 찾아야

 인터넷 가입자 617만명(50.5%), 시내전화 가입자 2148만명(93.7%), 그러나 아직 배가 고프다는 것이 KT의 입장이다. KT는 이제 기존의 주요사업인 초고속인터넷, 유선전화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미 정체된 기존 서비스시장에서의 사업자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KT도 미래 신성장 사업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신규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해외시장 공략도 신규 수익원 창출을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아직까지 KT의 전체 매출에서 해외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 내외로 매우 낮다. 해외사업 비중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다. 이에 따라 KT는 미래 수익원 창출을 위해 글로벌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이미 방글라데시, 이란 등에서 초고속통신망 구축 등 일부 성과를 거두고 있다.

 KT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해 새로운 영역도 개척하고 있다. 전화, 인터넷, 무선, 데이터 등 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현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뛰언ㅁ어 유, 무선 통합영역, 미디어, 콘텐츠, IT서비스 등의 영역을 아우르면서 통신에 뿌리를 둔 캐시카우(Cash Cow)를 새롭게 키운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KT는 차세대이동통신, 홈네트워킹, 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IT서비스 등 5대 신성장 산업을 발굴해 집중 육성할 예정이다. 이미 통신, 방송 융합상품과 유무선 통합서비스, 휴대인터넷(WiBro),인터넷 전화(VoIP)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거나 본격 진입을 준비중이다.

 지난 6월에는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인프라 중 하나인 차세대 인터넷주소(IPv6(를 대량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KT가 혹보한 차세대 인터넷주소는 17조개로 우리나라 인구 4800만명 기준으로 1인당 36만개의 개별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숫자다. 이에 따라 KT는 향후 펼쳐질 유비쿼터스 시대에 다양한 단말과 네트워크 서비스를 문제 없이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콘텐 강화에도 직접 나서고 있다. KT는 영화제작업체 싸이더스픽처스 인수를 통해 콘텐츠 사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KT, KTF, KTH, KDB(스카이라이프)등에 분산된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 차원에서 통합 관리하는 내용의 종합계획을 짜고 있다.

 이에 대해 현대증권은 KT의 시도가 SK텔레콤의 YBM서울 등의 인수와 마찬가지로 통신 사업자의 통신, 방송 융합환경 변화에 대비한 장기적인 비즈니스모델 강화전략이라고 풀이했다.

 2010년 KT의 비전은 그룹사 27조원, KT17조원 매출 달성이 목표다. 세계의 통신사업자중 10위권 안에 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2010년까지 연평균 5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유선 통신서비스 시장이 전반적인 성장정체기에 들어가면서 KT에게 '미래 활로 찾기"는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