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과 교수 서울대 지리학, UC 버클리 정보시스템학 석사, 하버드대 도시계획·부동산학 박사, 현 어반하이브리드 설립자 겸 고문, 전 행정안전부 사회혁신민관협의회 위원장, 전 프로퍼티&포트폴리오 리서치 선임연구원 / 사진 서울대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과 교수
서울대 지리학, UC 버클리 정보시스템학 석사, 하버드대 도시계획·부동산학 박사, 현 어반하이브리드 설립자 겸 고문, 전 행정안전부 사회혁신민관협의회 위원장, 전 프로퍼티&포트폴리오 리서치 선임연구원 / 사진 서울대

“부동산은 성장주에 해당한다. 건물 임대료 총합 등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를 예측할 수 있다. 부동산의 미래를 내다보기 위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준금리를 비롯한 거시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하는 이유다.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려고 한국은행(한은)이 금리를 올리면 부동산 시장은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10월 29일 조선비즈가 개최한 ‘2021 글로벌 경제·투자 포럼’에서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 흐름이 미래 부동산 시장을 좌우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부동산을 주식시장에서 말하는 성장주에 빗댔다. 구글, 애플 등 빅테크로 대표되는 성장주는 지금보다 미래 현금 흐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금리가 올라가면 주가도 조정받는다.

김 교수는 “사실 인플레이션 자체는 부동산 투자에 굉장히 좋은 헤지(hedge·위험 분산)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원자재나 철강 가격이 오르면서 신축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 오래된 부동산 가격도 영향받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부동산을 둘러싼 산업이나 인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