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수찬 카이스트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전 카이스트 대외부총장, 전 미국 라이스대 교수, 전 서울대 초빙교수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채수찬
카이스트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전 카이스트 대외부총장, 전 미국 라이스대 교수, 전 서울대 초빙교수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미국, 유럽 등 제약·바이오 선진국과 비교해 한참 뒤처져 있다.” 채수찬 카이스트(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은 한국의 제약·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묻는 질문에 냉정하게 답했다. 그러면서 “성장 가능성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차분하게 성장 전략을 풀어갔다.

채 센터장이 강조한 전략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협업 네트워크 구축이다. 그는 “한국 기업이 홀로 연구개발하기에는 기술, 인력, 자본 등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세계 1등 기업과 함께 연구하고 일하면서 기술력을 높이고, 투자를 늘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단기적인 성과가 아닌,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채 센터장을 3월 16일 카이스트 서울 도곡동 캠퍼스에서 만났다.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해외와 비교하면.“미국, 유럽 등 제약·바이오 선진국과 비교하면 한참 뒤처져 있다. 글로벌 제약사의 경우 연 매출이 60조원에 달하고 연구비는 10조원 수준인데, 한국의 제약 회사는 매출이 많아야 1조원이고 연구비는 1500억원에 불과하다. 1년 연구비로 10조원을 쓰는 회사와 1500억원을 쓰는 회사가 과연 경쟁이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