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형서울대 국사학과, KDI 국제정책대학원 경영학 박사, 산업자원부 외신대변인, 경향신문 기자 / 사진 최상현 기자
이은형
서울대 국사학과, KDI 국제정책대학원 경영학 박사, 산업자원부 외신대변인, 경향신문 기자 / 사진 최상현 기자

“흔히 97세대(1970년대 출생·90년대 학번)를 86세대(1960년대 출생·80년대 학번)와 밀레니얼 세대(1981~96년 출생) 사이에 놓인 ‘낀낀세대’라고 하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앞뒤 두 세대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가교세대’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지만 앞으로 무궁한 가능성을 발휘할 세대라고 봅니다.”

97세대는 1970년대에 출생해 1990년대에 대학에 입학한 지금의 40대를 일컫는 용어다. 이들은 청소년 시절 ‘486’ 삐삐를 쳐 사랑을 고백하고 워크맨을 들고 다니며 ‘서태지와 아이들’ 노래를 즐기던 X세대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들이 막 사회에 첫발을 내디딜 무렵인 1997년, 외환위기가 대한민국을 강타하며 비극이 시작됐다. 극심한 취업난에 몰린 X세대는 ‘IMF(국제통화기금) 세대’로 전락했고 세대담론에서도 소외됐다.

이런 97세대가 다시 뛰기 시작했다. 정계에서는 ‘97세대가 86세대 기득권을 밀어내고 주축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고, 재계에서는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필두로 ‘97세대 리더’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한화·SK 등 지난 연말 대기업 인사에서 70년대생 임원..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