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양전자 단층 촬영(PET) 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또는 기타 질환 소견을 받은 뇌 영상과 정상 소견을 받은 뇌 영상. 사진 강북삼성병원
왼쪽부터 양전자 단층 촬영(PET) 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또는 기타 질환 소견을 받은 뇌 영상과 정상 소견을 받은 뇌 영상. 사진 강북삼성병원

치매의 대명사 격인 알츠하이머병의 원인과 발병기전은 아직까진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응집이나 타우 단백질의 엉킴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치매로 이어지는 뇌 손상은 한 번 발생하면 완전히 복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치매 연구는 예방을 위한 진단과 정확한 원인 규명, 원인을 바탕으로 한 치료법 개발에 집중된다. 올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외 치매 연구를 진단·원인·치료 등 영역별로 살펴봤다.

현재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조기 진단에는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나 타우 단백질을 찾아내는 양전자 단층 촬영(PET) 검사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높은 비용 탓에 치매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들이 검사받는 경우는 드물다. 치매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야 검사받아, 예방 효과가 크지 않다. 이 때문에 저렴하면서도 치매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검사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묵인희·이동영 서울대 교수 연구진은 지난 1월 ‘브레인’에 타우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인 정도를 혈액 검사로 예측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해당 기술은 기존 PET 검사와 비교해 85%의 정확도를 보였다. 상용화 시 피 한 방울로도 간..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