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삼성전자 매장에서 고객이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고 있다. 올해 3분기(7~9월) 삼성전자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고작 1%에 그쳤다. 사진 블룸버그
중국의 한 삼성전자 매장에서 고객이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고 있다. 올해 3분기(7~9월) 삼성전자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고작 1%에 그쳤다. 사진 블룸버그

11월 5일 아침, 중국 상하이(上海) 푸동공항에서 광저우(廣州)행 상하이항공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무심코 집어 든 기내 쇼핑 책자의 내용이 중국에서 우리 기업이 처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흠칫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연계해 냉장고∙세탁기 등 대형 가전제품에서 침구류와 드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을 제공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런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경우 선택 가능한 브랜드는 애플과 중국 화웨이 둘뿐이었다. 자국 시장은 물론 미국을 제외한 해외 시장을 빠른 속도로 잠식하고 있는 중국 업체, 그보다 두세 배 비싼 가격에도 여전히 두꺼운 팬층을 확보한 애플 사이에서 국내 브랜드의 설 자리가 보이지 않았다.

중국 최대 경제 도시 상하이와 광둥성의 중심 도시 광저우에 며칠간 머무는 동안 이 같은 우려가 이미 현실이 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명동과 비슷한 상하이 쉬자후이(徐家匯) 지역의 대형 쇼핑몰 가전 코너도 독일 밀레와 영국 다이슨 등 고가 프리미엄 제품과 가성비 좋은 중국 제품이 양분하고 있었다. 한국 스마트폰과 자동차 브랜드가 중국의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는 40세 이하 젊은이에게 점점 더 외면받고 있었다. 한국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