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3일 서울 중구 ‘이코노미조선’ 회의실에서 국내 도시재생 전문가 4명이 모여 ‘한국 도시재생 사업의 해법’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나태흠 안테나 대표,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 사진 김홍구
10월 23일 서울 중구 ‘이코노미조선’ 회의실에서 국내 도시재생 전문가 4명이 모여 ‘한국 도시재생 사업의 해법’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나태흠 안테나 대표,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 사진 김홍구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서울에서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은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봐야 한다. 기존 거주민을 지원하는 미국식 바우처 제도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서울에서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은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봐야 한다. 기존 거주민을 지원하는 미국식 바우처 제도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발표했다. 이는 노후화로 낙후된 지역 500곳을 선정해 향후 5년간 50조원을 들여 탈바꿈시킨다는 내용이 골자다.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은 물리적 환경 개선에만 주력한 기존 도시정비 사업과는 다르다고 강조했지만,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차이점을 찾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과거에도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수백억, 수천억원 예산의 도시재생 사업을 발표했다. 그러나 한국에선 미국 시카고 밀레니엄파크 도시재생 프로젝트나 일본 도쿄의 마루노우치 지구 재생 사업처럼 전 세계를 놀라게 할 정도의 도시재생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도시재생 사업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시행착오를 반복 중이다. 한국형 도시재생 사업이 성공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10월 23일 서울 중구 ‘이코노미조선’ 회의실에서 국내 도시재생 전문가 4명이 모여 ‘한국 도시재생 사업의 해법’을 논의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나태흠 안테나 대표가 참석했다. 김영욱 세종대 교수는 2016년 진행된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을 총괄했으며, 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