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윤 미국 캔자스주립대 심리학 박사(소비자 심리학 전공),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양윤 미국 캔자스주립대 심리학 박사(소비자 심리학 전공),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옛 소비자는 ‘기술’에 반응했어요. 신기술이 나오면 잘 몰라도 일단 환영하는 식으로 말이죠. 197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N세대부터는 ‘기능’을 더 중시해요. 광(光)마우스가 처음 등장했다고 칩시다. 젊은 소비자는 ‘So what?(그래서 뭐?)’을 외쳐요. 내게도 쓸모가 있어야 열광하겠다는 태도죠.”

소비자 심리학 전문가인 양윤 이화여대 심리학과 교수는 5월 12일 서울 대현동 이화여대 연구실에서 ‘이코노미조선’과 만나 “중고 거래 활성화는 기능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가 소비 시장의 주축이 된 시대 흐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라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기능을 따진다는 건 의사 결정을 실용적으로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전쟁 치르고 배고픈 시절 견디며 경제 발전에 기여한 세대는 소유욕이 강했어요. 보상 심리랄까요. 쟁취 욕구가 컸죠. 게다가 집단주의 사회였잖아요. 집단 내에서 어떤 소유물로 나라는 존재를 부각하려는 심리가 늘 있었습니다. 요즘 소비자는 달라요.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환경에서 자라 소유에 대한 집착이 덜하죠. 개인주의 사회다 보니 남에게 보이는 것도 신경 안 쓰고요.”

이런 소비 심리 변화가 소유의 시대를 ‘공유의 시대’로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