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개봉했던 이준익 감독의 ‘동주(2016)’는 일본에 대한 항일 운동 과정보다 시인 윤동주와 독립운동가였던 그의 친구 송몽규의 우정과 좌절을 그렸다. 일본을 절대악으로 묘사하지 않으면서도 한·일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미국 시각에서 일본을 균형 있게 다룬 영화도 있다. ‘도라 도라 도라(1970)’는 일본 시각에서 진주만 공습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다룬다. 로맨스와 같은 극적 요소 대신 철저한 고증에 집중, 한 편의 전쟁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하다. 같은 사건을 소재로 하지만 미국 중심으로 전개됐던 마이클 베이 감독의 ‘진주만(2001)’보다 깊이가 있다.

진주만 공습으로 수모를 겪은 미국이 일본에 거둔 첫 대승, 미드웨이 해전을 다룬 영화 ‘미드웨이(1976)’도 주목할 만하다. 영화는 태평양전쟁의 전환점이기도 했던 미드웨이 해전을 미국과 일본 간의 치밀한 정보전을 중심으로 그려낸다. 일본에 대한 객관적 시각을 유지하고자 한 노력이 역력하다. ‘미드웨이’는 오는 11월 리메이크작이 개봉된다. 두 영화가 미국과 일본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과달카날 전투를 소재로 군인의 심리를 풀어낸 영화 ‘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