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자이한(Peter Zeihan) 켄터키대 패터슨 스쿨, 국무부, 스트랫포 분석 담당 부사장,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등의 저자
피터 자이한(Peter Zeihan)
켄터키대 패터슨 스쿨, 국무부, 스트랫포 분석 담당 부사장,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등의 저자

미국 정부가 세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이라는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자유 무역’ ‘국제 질서’ 모두 미국이 구축한 개념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유라시아를 보면서 전통적인 방식의 분쟁으로는 소련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미국의 해결책은 소련과의 냉전 기간에 누구에게든 뇌물을 줘 자기편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방법은 세 가지였다. △모든 동맹국의 영토를 보장하고 △누구든 언제든 어떤 상품이든 거래할 수 있도록 교역의 자유를 부여하고 △미국 시장을 모든 동맹들에 개방하는 것이었다. 전략적 필요성에 따라 탄생한 이 ‘약속(commitment)’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의 세계를 창조해 냈다.

그러나 냉전은 1989년 끝났다. 미국은 그동안 세계에 해온 ‘약속’으로부터 얻는 것이 별로 없게 됐다. 이런 이유로 미국의 약속도 점차 희미해져가고 있다. 2016년 미국 대선에서 누가 당선됐건 그는 한 시대의 종언을 고하게 돼 있었다. 트럼프는 그 임무를 정중하다기보다는 쾌활한 모습으로 맡아 진행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전략적 정책도 변화하고 있다.

첫째, 미국은 세계로부터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